웹사이트(홈페이지)가 필요한 이유는 다양합니다. 개인 블로그 용도의 단순한 웹사이트부터 인터넷 쇼핑몰이나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과 같이 조금 더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는 웹사이트들이 있습니다. 프로그래밍이나 디자인 관련 경험이 전혀 없는 경우 간단한 웹사이트라도 어디부터 읽어보고 시작해야 할지 난감하신 분들의 눈높이에 최대한 맞춘 포스팅입니다.
웹사이트를 만들고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크게 3가지입니다.
도메인 임대, 웹서버, 웹사이트 제작이고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1.도메인 임대
도메인은 웹사이트 주소를 뜻하며 웹사이트를 만들기 위해서는 naver.com / auction.co.kr / youtube.com 과 같은 도메인(웹사이트 주소)을 임대 해야 합니다. 임대는 1년 단위로 할 수 있으며 도메인별로 그리고 업체별로 가격 차이가 상당히 있으니 잘 알아보고 구매하시기 바랍니다. 도메인 임대 가격 그리고 도메인 전문 업체들은 구글 및 네이버 검색에서 쉽게 찾을수 있습니다.
도메인 임대 후 DNS 설정을 해서 임대한 웹서버에 연결을 해야 되는 과정이 있으나 이는 컴퓨터 관련 지식이 필요 없으며 매우 쉽고 도메인 전문 업체에서 쉽게 관련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2.웹서버(웹호스팅) 임대
웹서버(웹호스팅)임대 가격은 월에 몇백 원부터 사용 용도에 따라서는 매우 비싸기도 하나 일반적인 블로그나 가벼운 홍보용 웹사이트 경우는 외국 웹호스팅 업체 기준으로는 월에 만 원 이하의 웹서버 임대료가 듭니다.
웹호스팅 임대는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컴퓨터 관련 지식이 전무하고 컴퓨터에 대한 관심도 없으신 분들은 주변에 도와줄 분이 안 계신다면 어려움이 있을 수도 있다는 부분은 고려해주세요. 컴퓨터와 영어가 조금 되신다면 외국 웹호스팅 업체도 가성비 측면으로 좋은 옵션이나 단점은 서버들의 위치가 한국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가 보통 싱가포르여서 한국 고객들이 접속하는 홈페이지라면 대한민국에 위치한 서버들보다 성능적으로 손해를 보고 관련 불만 사항이 나올 수 있다는 부분 등을 고려하셔야 합니다.
전공하시는 분들이나 컴퓨터 지식이 어느 정도 있으신 분들은 Amazon AWS나 Google Cloud Platform도 현재 2020년 기준 1년 무료 사용을 제한적으로 제공하니 하나의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제한적인 디자인이지만 컴퓨터 및 디자인 관련 지식이 없어도 괜찮은 수준의 디자인의 웹사이트를 쉽게 만들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고 동시에 안정적인 웹호스팅을 제공하는 업체들도 있으며, 초기 단계의 많은 스타트업과 가벼운 느낌의 웹사이트 및 블로그에 많이 활용됩니다. 제한적인 기능하에 무료로 제공하는 업체는 Wix Weebly WordPress.com등이 있으며 이에 관한 포스팅은 나중에 할 예정입니다.
그리고 매우 제한적인 용량/트래픽을 조건으로 한국의 닷홈같은 무료 웹호스팅을 제공하는 곳들도 있으나 테스트용으로만 적합하다고 생각합니다.
한국 웹호스팅 업체를 직접 사용해본적은 없지만 사용해본 소수 지인들의 의견과 인터넷 포럼들 그리고 다른 블로그들의 내용을 종합해본 결과 다소 주관적인 견해일수도 있지만 속도만 포기한다면 외국 호스팅 업체들이 한국 호스팅 업체들보다 대체적으로 가성비가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3. 웹사이트 제작
작동중인 웹서버에 제작된 웹사이트 파일들이 저장되어있어야 사용자들이 방문할 수 있습니다.
직접 원하는 고유의 디자인과 기능을 갖춘 웹사이트를 만들고 싶다면 가장 비용이 많이 드는 부분입니다. 비용을 지불하고 맡기신다면 어떤 기술(프로그래밍 언어, 프레임워크, 라이브러리, CMS 종류)을 사용하냐는 의뢰인의 요구 사항과 기획 그리고 개발자에 따라 달라지고 비용도 최소 수십만 원에서 수백만 원 이상까지도 발생합니다.
하지만 위에서 언급한 윅스(Wix) 가입형 워드프레스(WordPress.com)등을 사용하면 웹사이트 제작 비용을 많이 아낄 수 있고 초기 단계에는 어느 정도 적합한 퀄러티의 웹사이트를 어렵지 않게 만들 수 있습니다.
결론
웹사이트를 만들고 운영하려면 도메인 임대 비용 + 웹호스팅 임대 비용 + 웹사이트 제작 비용이 필요합니다.
도메인 임대 비용은 도메인에 따라 다르나 1년에 약 1만 원 정도부터 시작하며 웹호스팅 임대 비용은 최저 한 달에 몇백 원부터 시작하나 일반적으로 처음 만드시는 분이라면 물건이 100-200개 정도 있는 인터넷 쇼핑몰이라도 특별히 방문자가 많거나 복잡한 기능들이 있지 않다면 일반적으로는 월에 몇만 원 정도 안에서 충분히 유지가 가능합니다.
웹 개발자와 웹 디자이너를 따로 고용을 안 하고 웹사이트를 처음 만들어보는 사람이라면
위에서 언급했듯이 컴퓨터와 디자인에 대해서 전혀 모르고 관련해서 검색하고 공부가 어려우신 분들은 윅스(Wix)를 가장 우선적으로 추천하며 가입형 워드프레스(WordPress.com) 위블리(Weebly) 또는 SquareSpace같은 업체를 사용하시는 방법이 가장 좋을듯 합니다. 또한 일부 웹 호스팅 업체에서는 기본 템플릿을 제공해서 인터넷 쇼핑몰을 비롯해서 간단한 수준의 웹사이트를 비교적 쉽게 만들 수도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인터넷 쇼핑몰 경우 시스템을 제공하는 대신에 결제 수수료를 요구할 수 도 있습니다.
인터넷 쇼핑몰 경우는 윅스(Wix)나 가입형 워드프레스(WordPress.com)등보다 쇼핑몰에 더 최적화된 Shopify 나 다른 솔루션들이 있고 이 솔루션들은 일부 극히 제한적인 기능만 가능한 무료 옵션도 제공하나 정상적으로 이용하면 월정액+결제 수수료가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컴퓨터 전공자이지만 웹개발은 처음이신 분, 또는 비전공자여도 컴퓨터 지식이 어느 정도 있으시고 검색과 공부하고자 하는 열정이 있으신 분들은 설치형 워드프레스(wordpress.org)나 다른 CMS들(드루팔, 줌라, 마젠토, XE, 그누보드, 제로보드) 또는 JavaScript나 PHP에 익숙하신분들은 이미 아시겠지만 Bootstrap이나 AngularJS, Laravel 같은 다른 웹개발에 적합한 프레임워크들도 프로그래밍 언어 익숙도와 용도에 따라서는 괜찮은 선택입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