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약 워드프레스와 웹이 처음이시라면 본인의 컴퓨터에 설치하는 방법을 먼저 추천해 드립니다.
링크
워드프레스를 구글 클라우드 서버에 설치하는 방법에 대한 포스트이며 설치 자체는 수동 설치가 아니고 구글에서 워드프레스 종합 설치 스택을 제공하기에 컴퓨터에 대해서 잘 몰라도 쉽게 따라 할 수 있을 정도로 쉽습니다. 제공하는 워드프레스 스택에 따라서는 약간씩 다르기는 하지만 구글에서 제공하는 기본 스택을 기반으로 설명하면 설치 후 여러 가지 유지 보수 및 업데이트 등은 현재는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해야 되므로 리눅스, 데이터베이스, 서버 등에 관한 기초 지식이 조금은 필요합니다. 처음 설치 후 어떠한 백업 시스템도 갖춰져 있지 않기에 저장 장치 이미지도 필요할때 스냅샷으로 백업해야 되고 도메인 및 이메일도 어렵지는 않지만 직접 수동으로 설정해야 합니다.
1년 동안 사용 가능한 무료 금액을 주기에 테스트용 목적으로는 좋지만, 서버 관련 기초 지식이 없으시다면 인터넷 쇼핑몰 등 꾸준한 관리가 필요한 웹사이트를 운영하는 방법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먼저 google 계정으로 로그인 후(Gmail 또는 Youtube로 로그인) cloud.google.com 으로 접속합니다. 우측 상단의 무료로 시작하기를 클릭합니다. 간단한 정보 확인 및 신용 카드 정보를 넣어야 진행됩니다.
처음 사용 확인 진행을 완료하고 1년 동안 사용 가능한 무료 금액을 받았다면 다시 cloud.google.com으로 접속 후 우측 상단의 ‘콘솔’을 클릭합니다.
콘솔로 들어갔다면 좌측 상단의 메뉴바를 클릭 후 Marketplace를 클릭합니다.
좌측의 필터를 가상머신/블로그 및 CMS/무료로 설정하면 보통 구글 기본 워드프레스 스택이 가장 처음에 보입니다. 이름은 ‘WordPress – Google Click to Deploy’이며 Bitnami등 다른 단어가 들어갔다면 다른 업체가 제공하는 스택입니다.
구글 기본 워드프레스 스택을 클릭했다면 다음과 같은 창이 뜹니다.
가격 및 기본 정보를 확인하고 실행을 누릅니다.
다음 화면에서는 가상머신 이름(Deployment Name), 서버 성능(Machine Type),서버 지역(Zone), 관리자 이메일 주소, 디스크 용량 및 종류(Boot Disk)등을 선택 할 수 있는데 중요한 것은 서버지역, 관리자 이메일 주소입니다. 서버 지역은 한국을 원한다면 asia-northeast3의 a/b/c중 하나를 선택합니다. 관리자 이메일 주소는 원하는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고 성능은 가능하면 기본으로 놔두고 디스크 용량과 종류도 특별한 용도가 아니라면 기본으로 설정합니다. 가격 차이가 크지는 않기에 원하면 SSD를 선택해도 괜찮습니다.
HTTPS 여부와 Stackdriver 옵션들은 알아서 선택 또는 선택해제 그대로 놔둬도 괜찮습니다.
원하는 설정을 하고 배포를 진행하면 화면이 바뀌면서 리소스를 배포하는 중이라는 메세지가 뜹니다. 보통 몇 분 정도 걸리며 완료 후에는 다음과 같은 화면이 뜨며 여러 가지 정보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위 화면 정보에 관해서 설명을 하면
Site address
워드프레스가 설치된 웹사이트의 IP주소입니다. 도메인을 연결하면 도메인으로도 접속이 가능하나 현재는 IP주소로만 접속이 가능합니다
Admin URL
워드프레스 로그인 및 관리자 패널 URL입니다. 다른 설치와 동일하게 wp-admin이 웹사이트 URL 뒤에 붙습니다.
MySQL이라는 단어가 포함된 정보
워드프레스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 관련 계정/비밀번호입니다. 관리자 계정과 워드프레스 데이터베이스용 계정 2개 정보가 주어지며 현재 단계에서는 특별히 신경 안써도 됩니다.
WordPress Admin user
워드프레스 관리자 로그인 ID입니다
WordPress Admin password
워드프레스 관리자 비밀번호입니다.
그외 기타 정보는 인스턴스의 이름, 서버 지역, 서버 타입(성능)등입니다.
나중에 다시 위 정보들을 쉽게 볼 수 있지만 일단 WordPress Admin User/Password를 적고(또는 메모장에 붙여넣기) 주어진 Site address(IP주소)를 통해서 접속해봅니다
주어진 Admin URL을 통해서 접속 후 처음 설치 완료때 주어진 WordPress Admin User/Password 정보로 로그인합니다. 로그인 아이디는 관리자 이메일로 입력한 이메일 주소 또는 admin 도 사용 가능합니다.
만약 관리자 정보가 표시된 창을 넘겼다면 콘솔 메뉴에서 Deployment Manager – 배포로 들어갑니다. 검색창에 ‘Deployment Manager’ 또는 ‘배포’로도 들어갈 수 있습니다.
지정한 가상머신 이름을 클릭합니다. 제 화면은 두 개지만 이 포스트를 보고 처음 따라 하신 분은 하나만 배포했기에 하나만 보입니다. 여기서 다시 데이터베이스 및 IP 주소, 워드프레스 관리자 비밀번호 정보 등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워드프레스 웹사이트가 잘 설치된 것을 확인했다면 마지막으로 외부(공인) IP주소를 고정으로 설정하겠습니다. 이 과정은 테스트용이라도 해두는 게 좋으며 이유는 임시(유동) IP 주소는 바뀌는 게 가능하기 때문입니다(가상머신을 껐다가 다시 킬때등) IP 주소가 바뀐다면 지정한 도메인부터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해서 웹사이트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하기 때문에 필수적으로 고정 IP를 사용해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임시 IP로 설정이 되어있기에 고정 IP로 바꿔주려면 콘솔 메뉴에서 VPC 네트워크 – 외부 IP 주소로 들어갑니다. 워드프레스 웹사이트가 배포된 콘솔의 IP 유형을 임시에서 고정으로 바꿔줍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