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프레스를 처음 접하시는 분이라면 본인의 컴퓨터에 설치하고 사용을 해보는 방법을 가장 추천합니다. 이 포스트에서는 워드프레스를 본인(사용자)의 컴퓨터에 설치하는 방법을 최대한 쉽게 설명하겠습니다.

먼저 워드프레스는 운영체제(OS)와 더불어 Apache MySQL PHP 가 기본적으로 필요합니다. 완전한 수동설치는 Apache MySQL PHP 그리고 워드프레스 코어를 다 따로 설치해야 되지만 다행히 Bitnami에서 워드프레스까지 한꺼번에 자동으로 설치 가능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기에 이용해 봅니다.

Bitnami 워드프레스 스택을 설치하시려면 https://bitnami.com/stack/wordpress/installer로 가서 윈도우 64비트용을 받으시면 됩니다.

만약 윈도우 32비트를 사용하신다면 64비트로 재설치를 하셔야 됩니다. 만약 맥을 사용하신다면 맥용을 받으시되 이 포스트에는 맥 설치 내용은 설명하지 않습니다.

다운로드 후 실행을 하면 워드프레스와 필요한 모든 프로그램을 설치하게 됩니다. PhpMyAdmin은 설치를 하는게 좋습니다. 관리자 정보를 아래 이미지처럼 입력하게 되는데, 워드프레스 설치 후 관리자로 로그인시 필요하니 username과 password는 따로 적어두세요.

SMTP 사용(이메일 구성)은 현재는 건너뛰는 게 좋으며 Bitnami Cloud Hosting 살펴보기도 선택해제 후 설치를 진행해 주세요. 2020년 현재는 MySQL 정보 등 워드프레스 구동에 필요한 모든 부분을 자동으로 설치 및 설정해줘서 실질적으로 사용자가 추가로 설정을 해줘야 되는 부분은 없습니다. MySQL 설치/실행 관련해서 윈도우 방화벽이 확인을 할 수도 있습니다. 허용해 주세요.
모든 설치가 끝났으면 웹 브라우져 주소에 127.0.0.1/wordpress로 접속하면 내 컴퓨터에 설치된 워드프레스 웹사이트가 다음과 같이 뜨게 됩니다. 많은 분들이 이미 알고 계시겠지만 127.0.0.1은 항상 내 컴퓨터(사용자 본인의 컴퓨터) ip 주소이며 로컬호스트(localhost)라고 부릅니다.

관리자로 로그인을 하려면 127.0.0.1/wordpress/wp-admin 또는 127.0.0.1/wordpress/wp-login.php 로 접속합니다. 로그인창에 설치시 입력한 관리자 정보로 로그인하면 다음과 같은 관리자 화면이 뜹니다.

워드프레스 설치가 완료되었으며 사용할 준비가 모두 되었습니다. Settings – General에 들어가셔서 Site Language를 한국어로 바꿔서 사용 가능합니다

참고로 해당 워드프레스 웹사이트는 사용자의 컴퓨터와 사용자의 컴퓨터와 같은 공유기에  연결되어 있어야만 접속 가능합니다(같은 공유기에 접속된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같은 공유기에 접속된 스마트폰, 태블릿, 다른 컴퓨터로 접속하는 방법은 ip 주소만 127.0.0.1 에서 워드프레스가 설치된 컴퓨터가 공유기로부터 할당받은 사설 ip 주소로 바꿔주면 됩니다. 해당 사설 ip 주소를 알아내려면 윈도우 10 기준 좌측 하단 검색창에 

cmd 입력 후 엔터

cmd창(검은 텍스트 기반 화면)이 뜨면 ipconfig 입력 후 엔터

보이는 정보 중 IPv4 Address의 주소가 내 컴퓨터의 사설 IP 주소입니다.

만약 외부에서 접속을 할 수 있게 설정을 하기를 원하면 포트포워딩을 통해서 비교적 간단하게 할 수는 있지만, 사실 웹을 처음 접하시는 분에게는 추천하지 않습니다. 웹을 관리한 경험이 많으신 분들도 특별한 목적 외에는 현재는 대부분 집 컴퓨터를 웹서버로 운영하지 않으며, 운영하는 경우도 본인이 주로 사용하는 컴퓨터가 아닌 전력을 적게 소모하는 라즈베리파이나 NAS, 오래된 노트북등을 웹서버로 구성해서 돌리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너무 뻔한 얘기지만 트래픽이 일정량 이상 되는 웹사이트라면 가정용 회선(작은 테스트용 웹사이트라면 상관없습니다), 보안, 설정(SMTP, 고정 IP등)등 신경 써야 하는 부분이 많기에 집에 있는 컴퓨터로 웹서버를 설정하는 방법은 특별한 목적 외에는 추천하지 않습니다. 또한 집에서 주로 사용하는 일반적인 컴퓨터로 24시간 live 상태여야 되는 웹사이트를 운영한다면 전기세등을 고려했을때 웹 호스팅을 임대하는 방법과 비교해서 비용적인 면으로도 절감이 되지 않습니다.

포트포워딩은 위에 설명한 내 컴퓨터의 사설 IP주소만 알면 공유기 페이지에서 쉽게 설정이 가능하며 인터넷에서 검색해서 쉽게 따라 할 수 있습니다.

포트포워딩후 외부에서 접속은 사설 IP주소가 아닌 ISP(인터넷 회사, 예: KT)에서 할당받은 공인 IP를 통해서 접속 가능합니다.